티스토리 뷰

반응형

간혹 다른사람들에게 잘 때 그가 ‘빠득빠득’ 소리가 나게

이를 간다는 소리를 듣는 분들이 있습니다.

평소 코는 골지 않는 사람이 이를 가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요. 잠자는 동안 이를 가는 이유

원인과 치료법을 아래에서 알아봅시다. 

잘 때 이가는 이유

이갈이 원인

이갈이는 이를 갈거나 악무는 것, 주간 및 야간에

일어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발생 시기에 따라

깨어 있는 동안에 발생하는 각성 이갈이와

자는 동안에 발생하는 수면 이갈이로 분류합니다.

수면 중에 이갈이가 심하면 심리적인 원인이 많아

스트레스나 심리적 불안감 등으로 청소년기에는

10명 중 1명이 이를 겪는다고 합니다.

또한 그 밖의 이갈이 원인은 치아의 맞물림이

불안정하거나 수면 상태를 방해하는 카페인 음료 등을

즐겨 마시는 사람에게도 나타난다고 합니다.

잘 때 이가는 이유

여러 연구에서 이갈이가 있는 사람은 없는 사람보다

더 많은 일상의 스트레스를 경험한다고 보고되고,

정서적 스트레스가 야간의 근활성 증가를 일으킨다는

결과가 있습니다. 또한 완벽주의, 분노 및 공격성을

보이는 성격, 불안증, 우울증, 적개심 등과 같은 요인들이

이갈이 환자군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갈이를 정확히 진단하기 위해서는 근전도

또는 수면다원검사를 이용한다. 또한 아침에 일어났을 때

통증 또는 입을 벌리기 어려운 경우가 나타나면

이갈이를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볼 안쪽 협점막에

압흔 혹은 백선은 이를 악물었을 때 생기기도 합니다.

잘 때 이가는 이유

이갈이 치료

이갈이로 진단되었다고 해도 모든 환자가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이갈이 정도가 약하고 지속해서

나타나지 않으며 특별한 임상 증상이나 징후를

유발하지 않는 경우에는 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갈이가 중등도 이상이고 임상 증상이나 징후를

유발하는 경우에 위험 요인 조절, 구강 내 장치,

보톡스 주사, 약물치료, 바이오피드백 등이 있습니다.

2012년 구강회복응용과학지에 실린 ‘이갈이의 진단 및 치료’에

따르면 수면 중에 이갈이가 일어나는 경우, 가장 합리적인 방법은

교합안정장치(Occlusalstabilization splint)를

야간에 착용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단, 이 때문에

이갈이가 없어지는 것은 아니고 이갈이나 이 악물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치아 마모, 치아 및 수복물의 파절,

아침에 일어났을 때 발생하는 통증 등의 문제점들을

줄일 수 있으며, 이갈이 소리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